공공미술포털 관련 학술 논문입니다.

해당항목에 따른 학술논문 내용
논문명 공동주택 단지 내 공공미술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청주시 지웰시티를 중심으로
저자 허숙 문서유형 논문
출처(학위수여기관)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 부동산개발금융전공 발행년도 2013 년
내용 ■ 국문초록

급속한 산업의 발전에 따라 도심 인구집중화가 시작되고, 이에 따라 좁은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건물은 시간이 갈수록 고층화 되며, 집약적 이용 형태를 취하며, 도시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하지만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 및 국민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쾌적한 삶에 대한 욕구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주거환경의 범위까지 확장, 증폭되고 있다.

증가되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에 따라 주택의 공급에 있어 과거 공급자 중심의 형태가 아닌 수요자 즉, 소비자의 욕구와 선택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또한 과거 주택은 경제적 부의 창출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주택을 바라보는 시각 변화, 부동산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경제적 이익 획득의 수단이 아닌 개인 및 가족의 수준 높은 생활을 보장 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시작으로 과거 주택의 주거 환경의 질을 높이는 수단으로 주택 내부 실내 환경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외부공간의 질적 개선에 대한 이용자의 니즈(needs)와 원츠(wants)의 표출, 주거 단지 고급화를 위한 예술품에 대한 이용자의 욕구의 소구에 따라 주택 외부 공간이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즉, 아파트의 가치 향유가 점차 외부공간의 질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ⅰ-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 내에 공공미술 작품이 설치된 사례를 선정하여 공공미술 작품이 주민의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공동주택 단지 주거환경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미술의 개념, 공공미술유형, 공공미술변천을 정리 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공공미술 유형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장르별 유형과 선행연구에서의 예비요인 분석을 도출하였으며, 사례대상지의 거주자의 사전인터뷰를 통하여 5개의 최종요인으로 1.설치목적에 의한 분류(상징형,기능형) 2.감상자 입장에 의한 분류(체감형, 근접형) 3.지각적 방법에 의한 분류(자유형)을 도출하여 공모전을 통해 설치된 14개 작품 중에서 표준편차가 큰 작품 1개를 제외한 13개 공공미술작품을 거주민의 시점에서 상징형, 기능형, 체감형, 근접형, 자유형으로 최종독립 변수를 정하여 최종변수로 거주자를 상대로 빈도분석, 회귀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독립 변수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영향을 주는 유형은 자유형, 상징형, 기능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근거로 부정적인 영향은 거주만족도에 완전한 부정적인 측면이 아니고 그 항목의 일상적인 작품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별화 되고 상징성을 더 중요시 하는 이미지의 변화를 엿볼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근접형의
-ⅱ-
경우 거주민 이동 동선 등의 공간 주변에 위치하며, 이용자의 생활공간과 가까이 있어서 익숙해져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여겨지나 무의식적 통과 등으로 거주민에게 인식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그리고 전시형의 경우 작품의 규모가 크고 시각적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체감형은 거주민이 앉거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사용되며 이용빈도가 높았으나 최근 신축아파트에서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보통화 된 작품의 형태라고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출입이 자유로운 곳에 설치되어 자주 보는 근접형이나, 작품이 크고 효과적인 전시형, 그리고 거주민들이 직접 체감하는 형태의 작품보다도 거주민들이 다른 공동주택단지와는 차별화된 상징형이나 도시민의 예술적인 행위를 작품으로 나타난 자유형(오브제형)과 작품의 특화된 기능성을 더 중요시 하며 청주지역 랜드마크적인 아파트라는 자부심을 갖게 해주는 작품이 거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를 볼 수 있다.

이제 공급자는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양질의 공동주택을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에도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질적 개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 단지에 거주자 선호형 공공미술 작품의 형태 등에 따른 거주만족의 관계를 도출하여 공공미술 작품의 다양화, 다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