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포털 관련 학술 논문입니다.

해당항목에 따른 학술논문 내용
논문명 문화생태계 관점으로 본 문화매개공간의 개념 및 역할 변화
저자 장은지 문서유형 논문
출처(학위수여기관)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문화예술경영전공 발행년도 2014 년
내용 ■ 국문 초록

2000년대 초반부터 문화예술계에서 생태계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화생태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의들은 문화생태계의 선순환구조가 형성되어 문화예술이 스스로 공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예술계와 관련된 생태계에는 ICT 생태계, 예술생태계, 창조산업생태계가 있다. 이들은 주로 산업의 관점에서 생산, 유통, 소비의 과정을 문화생태계의 가치사슬로 본다. 그러나 예술의 가치를 가격으로만 매길 수 없듯이 문화생태계를 상품으로서 유통되는 과정의 순환구조로만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 유통의 과정을 문화생태계의 구성요소를 이어주고 스스로 변화하는 의미를 가진 매개로 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생태계 에서 매개가 생산과 소비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문화생태계는 생산, 매개, 소비, 외부환경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진화하고 자기조절을 통해 생태계구조를 견고하게 만든다. 문화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생산자가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물질적인 지원이 중요하다. 하지만 예술가에 게 창작의 영감을 제공하고 다른 창작자와 소통하고 토론하는 문화매개 공간의 역할을 간과할 수 없다.
국내의 대표적인 문화매개공간은 1930~1960년대의 명동을 들 수 있다. 당시 한국전쟁으로 생활이 어려워진 예술가들은 커피한잔 가격이면 누구든 출입할 수 있는 다방으로 모여들었다. 명동의 다방은 예술인들의 소통과 교류가 일어나는 문화매개공간이자 문인들의 집필실이기도 했으며 배우와 영화인에게는 캐스팅 장소이자 사무실이었다. 또한 출판기념회, 공연, 전시 등의 문화행사가 이루어졌으며 문인들의 작품배경으로등장하기도 하였다.
1980~90년대 홍대 앞에는 신촌에서 활동하던 인디밴드들이 단속을 피해 이동해오면서 라이브클럽이 생겨났다. 이곳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 없이 하나의 문화공동체를 이루었으며 인대밴드들이 모여 연습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실험적인 음악과 퍼포먼스 그리고 즉흥적인 해프닝이 벌어지는 문화매개공간이었으며 홍대 주변의 카페도 그 지역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라이브클럽과 카페에는 예술가들이 모여들었고 이들은 서로 작품에 대해 논하거나 단골들과 교류하는 자리를 자연스럽게 가졌다.
현재는 문화의 산업화와 지가의 상승으로 문화매개공간들이 소멸·이동하면서 과거처럼 언제나 예술가가 모여 있는 장소는 사라지고 있다. 그럼에도 과거 다방과 살롱의 문화를 이어나가고자 만든 카페와 대안공간과 같이 변형된 문화매개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예술가들은 자생하기 위해 대안을 모색하면서 협동조합의 형태의 예술가 공동체를 조직하였다.
이 공동체는 같이 생활할 수 있는 마을을 구성하기도 하고 함께 예술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매개공간을 만들고 있다. 또한 생활 속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아마추어들이 모여 만든 실험적인 공간도 또 다른형태의 문화매개공간으로 볼 수 있다.
해외의 문화매개공간으로는 프랑스의 살롱과 카페, 뉴욕의 카페·레스토랑·클럽을 들 수 있다. 공통적으로 예술가들이 모여 소통하는 사교의장이었으며 단순한 교류의 장이 아닌 작품과 예술에 대해 논하며 계파와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17~18세기 프랑스 살롱은 여성을 중심으로 누구나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었으며 작품의 성공여부가 결정되는 곳이었다. 18~19세기 프랑스의 카페는 예술가들의 작업실이자 영감을 얻는 창작의 산실이었으며 커피한잔이면 누구나 평등하게 발언권을 가질 수 있는 공론장이었다. 특히 파리의 몽마르뜨 근처의 카페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모이는 미술학교와도 같았다. 20세기의 뉴욕의 클럽과 카페에서는어디서나 예술가들을 만나 토론할 수 있었으며 예술가들은 뉴욕에 밀집된 문화공동체를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국내·외 문화매개공간은 공통적으로 누구에게나 개방되어있는 공간이 었으며 예술가들이 모여 소통·교류하고 자신들의 작품에 대해 공연·전시 할 수 있었다. 또한 창작의 아이디어와 작품소재를 얻거나 학교 이외의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한 문화매개공간은 문화·예술을 발전시켰으며 문화생태계의 공진화구조를 견고하게 만들었다. 문화매개공간은 전쟁, 산업화, 지가상승 등의 위협을 받아 사라지기도 했으나 시대의 변화에 맞춰 그 유형을 달리하며 새롭게 생성·진화하
고 있다. 문화의 개념이 시대와 사회구조에 따라 변화하듯 문화매개공간의 개념 및 역할도 끊임없이 변화해오고 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