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포털 관련 학술 논문입니다.

해당항목에 따른 학술논문 내용
논문명 도시문화 환경을 위한 공공미술로서의 미디어 파사드 연구
저자 조희승 문서유형 논문
출처(학위수여기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예술기획전공 발행년도 2013 년
내용 <초록>

현대인들에게 도시는 단순히 생활을 영위하는 일상적인 장소의 의미를 넘어 삶의 절대적인 조건이 되고 있으며, 인간의 활동에 편의성을 제공하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가속화된 미디어 기술의 발달, 치명적인 감시 체제의 확대 등으로 인해 현대 도시의 삶은 오히려 개인화와 폐쇄적인 인간관계, 비인간화가 촉진되고, 이러한 삭막한 도시 환경은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게 도시의 문제를 극복하고 도시 풍경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은‘문화’를 통해서 가능하며, 21세기 도시는 삶의 질을 중시하는 문화의 시대로 향해 가고 있다. 도시를 포괄적이고 맥락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게 하는 시각은 문화적 장으로서의 공공영역에 대한 주목을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공공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공공미술은 도시 안에서의 그 역할과 의미를 획득한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오늘날 인간을 지배하며 도시의 삶과 풍경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놓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 따라 건물 외벽을 대형 스크린처럼 꾸미는 미디어 파사드가 다수 출현하고 있으며, 미디어 파사드는 일상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단순한 생활공간을 생생한 체험의 현장으로 변화시켜 도시 환경에 그 영향력과 파급력을 키우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인 미디어 파사드를 단순히 상업적인 광고의 효율성 차원을 넘어 도시 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공공미술의 관점에서 분석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 국내·외 미디어 파사드 적용 사례의 분석은 각각의 미디어 파사드가 공공미술로서의 기능과 원리를 만족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도시의 공공문화콘텐츠로 기능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창조적 방법과 전환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도시문화 환경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 공간에 미디어 파사드는 공공미술로서 대중과 상호작용하는 커뮤니티의 장으로 나아가기 위해 장소성, 공공성, 조형성이 관계를 맺어야 하며, 이는 인간과 공간, 인간과 콘텐츠,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인간을 중심개념에 둔 인간을 위한 도시공간을 지향한다. 여기서 장소성, 조형성의 특성을 보이는 사례는 미디어 파사드가 정보전달매체로서 브랜드 인포메이션과 LED 장식, 예술과 건축의 경계로서의 미디어 건축 유형에서 그치는데 반해 장소성, 조형성과 더불어 공공성이 조화를 이루는 사례는 상호작용성을 지니는 미디어아트 스크린으로서 확고한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결국 미디어 파사드가 주변 맥락을 고려한 공간 환경에서 창의적인 조형적, 문화적 요소들이 더해져 미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고, 인간과의 소통과 교감을 통해 인간의 감성적 가치를 한층 더 심화시켜주는 공간의 예술화, 친인간화로 나아가는 것이 바로 미디어 파사드의 시대적 역할이자 궁극적인 가치인 것이며, 이는 미디어 파사드가 공공미술로서 기능하게 하여 도시의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게 한다.
이에 공공미술로서의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실천 방안으로 안정된 환경에 즉각적인 유희와 몰입의 개방 공간 제공, 사회적·문화적 인간 존재를 형성하는 차별화된 예술적 콘텐츠 확보, 경험과 기억을 공동으로 향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형태, 그리고 유연한 정책 및 전술적 제도의 확립이라는 다각적인 접근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공공미술로서의 미디어 파사드는 도시 공간 속에 과거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공미술의 형태로 보여 질 것이다. 미디어 파사드는 정적이고 공적인 영역으로 여겨졌던 공공장소의 건축물에 미디어 기술과 예술을 접목한 대중과의 자율적인 소통을 통해 살아있는 유기체가 되어 무표정한 기존의 공공미술에서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내러티브가 생산되는 창조적인 공공미술로 개념을 확장할 것이다. 그로 인해 미래 지향적인 예술의 한 형태로 도시문화콘텐츠가 탄생되어 삶에 균형 있는 정서적 가치를 제공하며, 도시가 시대적 흐름에 맞는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여 도시문화 환경의 발전적 진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첨부파일